네트워크6 [네트워크] 프록시와 안정적인 트래픽 오리진 서버와 중간 서버: 포워드 프록시와 리버스 프록시오리진 서버(origin server): 자원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게 권한이 있는 응답을 보낼 수 있는 HTTP 서버클라이언트와 오리진 서버 사이에는 많은 중간 서버가 있을 수 있다가용성(availablity): 서버, 네트워크, 특정 하드웨어 부품을 비롯한 특정 컴퓨터 시스템이 주어진 기능을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의 비율고가용성(HA, high availability): 주어진 기능을 문제없이 수행하는 시간이 비율이 높을때HTTP 중간 서버는 프록시와 게이트웨이가 있다프록시 (proxy)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메시지 전달 대리자주로 캐시 저장, 클라이언트 암호화 및 접근 제한 등의 기능 제공클라이언트가 어떤 프록시를 언제, 어떻게 사용할지 선택.. 2025. 2. 16. [네트워크] 응용계층: HTTP 도메인 네임과 DNS인터넷에서 네트워크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으로, 사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네임(domain name)을 통해 실제 IP 주소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함IP 주소네트워크 상의 호스트(컴퓨터, 서버 등)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숫자 기반 주소IPv4: 192.168.0.1 형태 / IPv6: 2001:0db8:85a3:0000:0000:8a2e:0370:7334 형태예시) 웹 서버의 IP 주소가 142.250.190.46이라면, 이 주소를 통해 해당 서버에 접근 가능도메인 네임(domain name)사람이 읽기 쉬운 문자열 형태의 호스트 정보로, IP 주소와 대응됨예시) www.google.com은 내부적으로 특정 IP 주소와 연결됨도메인 네임은 계층 구조로.. 2025. 1. 29. [네트워크] 전송 계층: TCP, UDP 전송 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: TCP, UDP목적과 특징포트를 통한 프로세스 식별IP주소와 MAC주소는 패킷을 송수신하는 호스트를 특정할 수 있음패킷은 호스트가 실행하는 프로세스에 송수신해야 함하나의 호스트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어서, 네트워크 상의 호스트가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식별해야 함포트(port) 번호로 프로세스를 식별할 수 있음IP 주소와 포트 번호의 조합으로 '특정 호스트가 실행하는 특정 프로세스'를 식별할 수 있다."IP 주소: 포트 번호" TCP와 UDP 모두 포트를 통해 프로세스 식별 16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포트 번호는 총 2**16개 = 65536개포트 종류포트 번호 범위 잘 알려진 포트 (well knwon port)0 ~ 1023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.. 2025. 1. 28. [네트워크] 네트워크 계층: IP 물리 계층, 데이터 링크 계층: 대부분 LAN을 위한 기술네트워크 계층: IP(Internet Protocol)LAN을 넘어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을 주고받아야 함IP의 목적과 특징목적주소 지정(addressing)네트워크 간 통신 과정에서 호스트를 특정하는 것단편화(fragment)데이터를 여러 IP 패킷으로 올바르게 쪼개 보내는 것특징신뢰할 수 없는 통신비연결형 통신IP의 목적주소 지정주소 지정은 IP주소를 통해 이루어짐IP 패킷 해더를 통해 알 수 있음하나의 IP 주소는 총 4바이트의 크기로 구성 (숫자당 8비트로 표현 -> 0~255범위의 10진수 4개로 표기)점으로 구분된 하나의 10진수를 옥텟이라 함 택배로 빗대어 표현한다면?MAC주소: 수신인, 발신인IP주소: 수신 주소, 발신 주소 패킷을 .. 2025. 1. 27. 이전 1 2 다음